5년전 잘 다니던 대기업을 때려치고 새로운 도전을 할 수 있게 만들어준건 인천의 어느 역세권에 마련해놓은 상가 덕분이었다. 거기서 나오는 월순익 130만원이면 모든게 실패해서 비참하게 살아도 와이프와 딸내미 밥은 먹일 수 있을거라는 안도감이 있었다. 어찌보면 아주 적은 돈이지만 그게 자산증식과 직업안정성을 확보하는 촉매 기능을 했다는 것을 부인할 수가 없다. 대부분 첫 투자를 아파트로 시작하지만 나는 상가로 시작했기 때문에 부동산 포트폴리오가 저절로 분산이 됐다. 물론 19년 초부터는 시장 흐름에 따라 분양권 투자로 돌아섰지만, 해당 투자로 발생되는 이익을 다시 수익형으로 이전시키고 있다. 월세를 받기 시작한 남동탄의 상가와 22년 준공될 대구황금역과 고양원흥역 근처의 상가-오피스를 합치면 22년 말에는..
스댕데일리붇#7 노동소득, 사업소득, 투자소득 노동소득만이 진정한 소득이라는 사람들이 있다. 하지만 알 것이다. 지금처럼 사측에 노동을 제공하고 급여를 받아봐야 평생 부자가 되긴 글렀다는 사실을 말이다. 노동소득이 굉장히 중요하고 품질이 높은 소득인 것은 맞지만 그렇다고 노동소득에만 기대면 늙어서까지 비참한 노동의 수렁에 빠지게된다. 결코 노동소득이 나쁜다는게 아니다. 하지만 노동소득으로 부자가 되려면 0.1%의 재능을 타고나야 한다는 것을 빨리 깨우치는것이야 말로 '부자'에 그나마 빠르게 접근할 수 있다는 걸 말하고 싶다. 내 몸이 다 닳아 시장에서의 가치가 떨어지기 전에 다른 소득을 마련할 준비를 해야한다. 물론 퇴근 후에.. 그렇다면 부자가 되려면 뭘 해야 하는가? 노동소득을 통해 마련한 목돈 혹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