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본인의 실거주 아파트 시세를 체크하는 사람이 많은 단지들의 역설. 아파트의 입주민들이 시세에 관심이 많다는걸 긍정적 요소라고 착각하지 말자. 당장의 시세에 관심이 많다는 것은 여차하면 팔고 나갈 매도 대기자일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그 아파트에 눌러 앉은 사람이라면 시세 따위에 관심두지 않는다. 어차피 팔 마음이 없으니까. 실거주 소유주들이 시세에 관심이 없어지는 순간이 와야 상승기때 시세가 폭발한다. 그래서 팔 사람들은 얼른 팔고 떠나야 한다는 거다. 그분들이 내려야 버스가 출발한다. 정체 하락기때 손바뀜이 많이 된다면 그것 또한 긍정적이다. 초기 수분양자들이 떠나고 눌러 앉을 사람들이 대기하다가 매수하는 거니까. 그 시간이 얼마나 걸릴지가 문제다. 유출대기보다 유입대기가 많아지는 시기가 언젠가는..
내 집이 있다고 치고 계산한 은퇴 후 최소한의 월지출(2인 기준) 계산. 줄여서 은퇴 후 생활비. 구분 월비용 아파트관리비 25만원 통신+인터넷+TV+콘텐츠구독 20만원 자동차 유지비 + 대중교통 20만원 식비 80만원 병원비 10만원 실비 보험료(2명) 30만원 경조사비 5만원 각종세금 5만원 총계 200만원/월 대충 따지고 보니 최소 월(月) 현금흐름이 200은 있어야 함. 다시 말하지만 최소임. 당당한 노인으로 사람답게 살려면 50%~100% 정도 더들어가지 않을지. 2인 기준 생활비입니다. 손주들 용돈 10만원 문화(영화, 공연 등) 10만원 여행 30만원 외식 20만원 각종 모임 20만원 옷 10만원 생활잡화 10만원 각자 취미활동 30만원 (총계) 140만원 최소한의 은퇴후 생활비와 사람답게 ..
하루에 두세 통씩 텔레마케팅 전화를 받는다. 대부분 비주거용 부동산이거나 소규모 오피스텔 전화다. 번아웃 동안 잠시 전화를 받지 않다가 다시 모든 전화를 받기 시작했는데 참 놀랍다. 2-3달 사이에 평당 분양가들이 대폭 오른 느낌이다. 내 투자 포트폴리오 기준 아무리 봐도 평당 900을 넘으면 안 되는 입지의 자리인데 1100만 원에 분양한단다. 심지어 입지가 똑같은 곳의 직전 유사상품의 분양가가 평당 600대였는데 두배 가까이 뛴 분양가에 분양을 하는데도 청약열기가 엄청났다고 하고. 이게 뉴-노말인가보다. 땅값을 포함해 모든 게 다 올라서 그냥 비싸게 분양하는 것 같은데 투자자들과 실수요자들이 그걸 받아들이는 모양새다. 이러면 자연스럽게 해당 건물들과 근처 건물들의 임대료 바닥가가 올라간다. 임대수익률..
스댕데일리붇#126 동탄에 상가를 매수하고 등기를 친지 이제 1년 반 정도 됐나.. 부루마불 땅따먹기 톡방에 계신 투자자께서 내 상가 바로 옆에 올라오는 상가에 대한 문의를 몇 가지 주셨길래 상담을 잠깐 해드렸는데 분양가를 보니 내가 1년 반 전 샀던 상가보다 거의 1.7억이 비싸다. 그렇다는 말은 내 상가 시세가 그만큼 올랐다는 거다. 내가 살 때 3.97억에 잡았는데 분양가 표를 보니 동일평수 분양가가 5.7억이다. 유효 동선은 내 상가가 비교우위이기도 한데 말이다. (이전글 링크) https://minife.tistory.com/710 수익형 투자 노하우 내가 아는것만 정리 스댕입니다. 제 콘텐츠는 무료이지만 유료입니다. 광고좀 눌라줘요.. 한번만 #스댕데일리붇 87번째글 1. 신축 분양상가는 모 ..
엊그제 송도 센텀하이브 고층 18호라인을 팔라고 전화가 왔었다. 매수쪽에서 제시한 프리미엄은 무려.. 읍읍.. 적을 순 없지만 내 생각보다 한참 위였다. 월세나 받으려고 수익형 투자를 한건데 차익이 이렇게나 생기다니 기분이 아주 좋다. 최근 투자한 수익형 부동산이 다 이렇다. 반면 주택은 정부에서 하도 딴지를 걸어서 최근 수익률이 좋진 못하다. 오르고는 있는 것 같은데 어차피 팔아봐야 세금이 엄청나서 팔지도 못하겠고. 더 사지도 못하겠다. 보유세 종부세가 슬슬 걱정이라.. 반면 수익형 부동산은 80억까지 종부세가 안나온다. 재산세야 뭐 월세 조금씩 적립해서 내면 되고. 이런 생각이 든다. 레버리지 비율이 비슷하다고 할때 50억짜리 집 한채 들고있는 사람이 부자일까. 10억짜리 집 한채와 40억어치 수익형..
스댕데일리붇#100 은퇴하는 순간 소득 -60%.. 은퇴하는 순간 소득이 60%가 줄어 많은 노인들이 생계절벽에 내몰린다고 한다. 몸도 고장나 움직이는 것 조차 힘든데 어쩔 수 없이 살아가기 위해 일을 해야 한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65~69세 노인의 경제활동참여율이 불과 3년 만에 12.9%포인트나 올랐다고 한다. 심지어 '일을 하고 싶다'는 65세 이상 노인 9.4%에서 68.4%로 폭증했다는데 그 배경은 더 심각하다. 용돈벌이가 아닌 '생계비 마련'이 일을 하고 싶은 이유의 73% 이상이니까 말이다. 은퇴 후 편안한 여생을 보내야 하는 분들이 생존을 위해 끝없이 일을 하고 있다. 젊었을적 미리 대비를 하지 못한 사람들이 죽기 직전까지 일을 해야 하는 상황에 내몰린거다. 게다가 일자리들이 사람이 아..
이제 양도세 중과 80%의 시대가 옴. 1억 올라서 팔면 내가 2천만원 정부가 8천만원 가져감.. 1년동안 2억 올라도 내가 4천만원 정부가 1억6천만원 가져감 어차피 사지도 못하지만 샀다고 해도 팔때 수익률이 엉망임. 그런데 상가를 사볼까요 4억짜리 상가를 사면 1.5억 들여서 이자제하고 월 120~130정도가 떨어짐. 1년이면 1440~1560이니깐 연수익 대충 1500이라고 잡음. 주택투자로 치면 연간 한 8천 정도 오른 효과임 2년째 월세받으면 1.6억 3년째 월세받으면 2.4억 오른거나 마찬가지임 다주택자 입장에서 이대로 규제가 풀리지 않는다면 손쉽게 접근할게 수익형 물건들밖에 없음. 경매로 사면 더좋음 그리고 역세권 지산이나 위치좋은 섹션은 잘만 세팅하면 상가보다 수익률 훨씬더높음. 그런데 수..
수익형 부동산 상품은 추가수익 월 100~200 벌 생각으로 한두개 사보고 끝내면 안된다고 생각한다. 여기에 발을 들인 순간 이쪽 전문가가 되어서 월천 목표로 달리는게 좋다. 다른 소득 없이 수익형으로만으로도 먹고 살수있는 구조를 짜야 한다는 거다. 외벌이의 경우 겸업 금지 등의 여러 이유로 수익형 부동산의 명의를 배우자에게 돌리는 경우가 많다. 대충 4억짜리 상가를 산다면 투자금 1.5억 정도에 이자를 제하고 월 130정도의 추가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데, 그런데 그 순간 건보료가 지역가입자로 변하니 실제 수익은 더 떨어지게 된다. 그러니 거기서 끝내긴 아쉽다. 감을 한번 익힌 후엔 더 적은 금액으로 더 높은 수익을 올릴 수 있는 상품을 찾아본다. 그러다보면 경매에도 접근하게 되고 신축 지산이나 섹션 등..
통화량 M2와 커플링 되는 주택 가격지수로 봤을 때 아직도 집값이 저평가 구간이라는 말이 맞는 것으로 보인다. 지금이 미친 집값이라고 하는데, 몇몇 자료와 현실을 비교하여 따져보면 '현재 주택 가격이 정말 미쳤는가?'라는 말에 '글쎄..'라는 말이 절로 나온다. 차세대 산업의 유망직종이 몰려있는 '수원-용인-성남(줄여서 수용성)'의 집값을 생각해보자. 영통과 기흥의 삼성전자나 분당 옆 판교 테크노밸리 등에 재직 중인 엔지니어들의 경우 평균 연봉이 1억원 내외다. 맞벌이일 경우 1.5~2억이다. 각 동네 신축 단지들의 시세는 대부분 국평기준 10~15억원 내외이다. 한푼도 안쓰고 모을 경우 지역대장-준대장 10억짜리 아파트를 사는데 외벌이면 10년, 맞벌이면 5년이 걸린다. 수십년째 반복적으로 나오는 기사..
중산층-서민 월급쟁이 가족의 생계는 전적으로 고용주와 정부의 손아귀에 달려있다. 고용주가 주는 월급과 정부에서 가져가는 세금에 가족 구성원의 생활 수준이 결정된다. 가족의 미래를 위해선 구성원 스스로가 이 구조를 타파해야 한다. 그들에게 의지하지 않고도 가족을 먹여 살릴 수 있는 힘을 길러야 한다. 지금 남들보다 연봉 몇 푼 찔끔 높은 회사에 다닌다고 해도 바람 앞의 등불과 다름이 없는 존재라는 건 본인 스스로가 알 거다. 만약 가계의 소득이 한두사람의 월급여로만 돌아가는 구조이고, 동시에 목돈마련을 위한 저축과 그 돈을 불리기 위한 투자를 거의 못하고 있다면 문제가 심각한거다. 직장을 그만두거나 내 신변에 안좋은 일이 생기는 즉시 현금흐름이 깨져 가족들의 생계가 곤란해지기 때문이다. 원래 재산이 많았는..
로버트기요사키의 부자아빠 가난한아빠에 나오는 구절이다. '가난한 사람들과 중산층은 돈을 위해 일하지만 부자들은 돈이 자신을 위해 일하게 만든다'. 부동산 분야의 많은 네임드들이 이미 많이 인용한 문장인데, 단순해보이지만 해석하기에 따라 여러갈래로 생각할 수 있다. 각자의 경험과 지식에 따라 다가오는 의미가 다를테니 알아서들 생각하면 되겠다. 나의 경우 '사업'과 함께 돈을 묻어놓은 '주택 분양권'과 '상가'들이 떠올랐다. 분양권의 경우 계약금이라는 돈에 시간을 묻혀 불리는 구조인데, 그 돈이 나를 위해 일한다는 생각이 딱히 들진 않는다. 대출을 통해 차익형 투자를 하는 기간동안은 현금흐름이 마이너스이기 때문이다. 다만 초저금리 양적완화의 미친 세상이고 혹시모를 개발호재 등이 분양권에 묻으면 가치가 급등하..
투자붐이 일어나면서 회사 급여의 가치를 폄하하는 글들이 심심찮게 보이고 SNS덕분에 그런류의 글들이 많은 방들에 떠도는데 대단히 위험하다고 본다. 기업 오너나 대주주, 전문직이 아닌 이상 월급이 없으면 살아갈 수 없다는 걸 망각하지 말자. 기업이나 개인이나 가장 중요한 것이 현금흐름(cash flow)이다. 수입과 지출이 안정되고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삶에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회사에선 대충 일하면서 얇고 길게 가는 것이 더 좋다'라는 뜻으로 애써 이해하려 해도 좀 그렇다. 하루에 점심시간 포함 9시간 이상을 회사에서 보내야되는데 그 시간동안 본업에 집중하지 못하는 사람이 과연 투자를 비롯한 다른 일들은 제대로 할 수 있을까 싶다. 사실 퇴근 후에 투자공부를 해도 시간은 충분하다. 대충 일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