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흥에 썩빌을 하나 사려고 부동산이랑 통화를 하다 문뜩 든 생각들입니다. 1. 그동안 아무런 개발 소식도 없던 동네인데 1억 이하 썩빌구역라고 갑자기 디벨로퍼들이 개발하려고 하는가? - 요즘 무슨 1억 이하 썩빌이면 다 재개발되는줄 아는 분위기던데 절대 아니라고 봄. 10~30년 처물릴수 있을 거라는 생각이 문득 듬 2. 공시가 1억 이하 썩빌 썩주 썩아는 무적권 오르는 만능 부동산일까? - 남들 다오르는 동안 왜 안올랐는데... 3. 얼마나 세입자가 속을 썩이길래 이 물건을 팔까.. - 보증금을 빌려주는 소액 대부업을 하던 지인이 있는데 그 사업 잠깐 하는 사이에 백발됨. 물론 돈도 다잃음. 4. 플랭카드 믿어도 되나? - 플랭카드 걸린지 5년이 지나도 아무것도 추진 못하는 곳이 널림 5. 재재 플랭카..
스댕데일리붇#93 부동산 시장의 영원한 싸이클 아파트 미분양 → (시행주체) "어 뭐야?" 신축 대기중인거 대거 연기 혹은 취소 → 신축 공급 딸림 → (실수요자&투자자) "저거라도 사즈아" → 미분양 해소 → 일대 가격 오름 → 와~ 건물 올리자 → 공급많아짐 → 미분양 뭐 아주 간단하게 적으면 위와같은 사이클의 무한반복인데, 정부에서(특히 서울에서) "와~ 건물 올리자"의 단계를 막는 바람에 수요공급이 무너져 다오름. 어차피 강남은 그사세, 그들만의 리그라 굳이 막을 필요가 없었는데 강남일대 거래와 재건축을 막는 바람에 돈많은 형님누님들이 전국 여기저기 투자를 시작하며 다 올려버린거다. 서울투자자들을 포함한 전국의 부자들은 미래를 밝게보는 워낙 긍정적인 사람들인지라 전국 여기저기 들어가며 현지인들이 ..
무료지만 유료(구글광고)인 스댕데일리붇 #92 어차피 확률은 50%다. 오르거나 떨어지거나. 상승론자든 하락론자든 유튜버든 블로거든 인플루언서든 강사든 그냥 이번 상승장에 강연료, 광고수익, 유료톡방, 밴드 등에서 수익을 확 땡기고 입닫고 잠적하면 아무도 찾을 수 없다. 그분들은 오르던 내리던 본인 사업소득을 가져가시는 분들이다. 그래서 그분들의 말을 전적으로 신뢰하고 어느 한곳, 어느 한종류의 부동산에 몰빵하면 안된다. 그러다 망한다. 상승장이 언제 끝날지는 아무도 모른다. 24년일지 26년일지 28년일지 그 누구도 모른다. 물론 수요공급 관련 지표들을 근거로 상승과 하락을 예견하고 있으니 어느정도 신뢰할만 하지만, 데이터는 가공하고 분석하기 나름이라 똑같은 자료를 가지고도 누구는 하락할거라 그러고 누..
이제 무순위 줍줍의 시대도 끝났나봅니다. 무순위 물량에도 자격과 제한이 생깁니다. 보도자료를 볼까요. 이제 해당 주택건설지역(시/군)의 무주택 세대구성원인 성년자에게만 줍줍 자격이 주어집니다. 게다가 줍줍에도 재당첨 제한 규정이 신설되나봅니다. 일반 청약과 동일한 재당첨 제한을 두네요. (최대 10년) 뭘 기대하는건지 모르겠지만, 무주택분들이 과연 줍줍에 나설 수 있을까요? (절라 인기단지 빼고) 투자자들도 쫄려서 잘 못들어가는 그 미계약 취소분 줍줍을? 제 어줍짢은 뇌피셜이지만 이러면.. 애매한 입지는 공사자체가 어려워질수도.. 입지 딸리는 곳에 건물 짓는 사업주체 형님들이 가장 믿는게 투자자들인데 그 투자자들 줍줍 막히면 사업성 딸리는 곳은 '미분양 꼬리표'를 염려해 분양 자체를 못할겁니다. 결국 장..
1. 아직 깊은 생각을 안해본 임차인 뭐야 투명하고 좋네 정부 화이팅 불로소득 아웃 소득있는곳에 세금있어야지! \(*`д´)∠ * 왜 윈윈관계라는 걸 생각 안할까.. 2. 좀 알아본 임차인 그냥 가만히좀 냅두지.. 집주인들도 궁지에 몰리면 돌변하기 시작할텐데 걱정이네.. 부가세 받기 시작하면 골치아픈데.. 3. 궁지에 몰린 집주인들 나도 먹고살려면 임대료도 높이고.. 이제 부가세도 받을수밖에 없고.. 갱신할때 보증금은 그대로 놓고 월세를 추가로 받으면 되려나..? (전세시대의 진정한 종료 : 반전세 및 월세가 대세) 4. 업무량이 늘어나 짜증나는 부동산들 가뜩이나 임대차3법때문에 거래도 반토막났는데 신고까지 하래니 물량이 갑자기 물량이 더안나옴. 짜증~ 분쟁도 많아질텐데 중간에서 골치아프네 이거.. 골치..
무료지만 유료(구글광고)인 스댕데일리붇 #91 어렸을땐 어른들이 사주를 보는게 이해가 가지 않았다. 그냥 내 잘난맛에 살았으니까. 그러던 어느순간부터 내가 사주팔자를 보고 있더라. 한시간에 10만원인데 누구보다 헛된 돈을 쓰는게 싫은 내가 사주를 보기 시작했다. 미신을 믿다니 참 어리석은 어른들이라고 생각했는데 내가 그 부류의 어른이 됐다. 그래서 부자형님누님들을 좀 관찰했는데, 부자들은 더욱더 그런거 안볼줄 알았건만 되려 더욱더 가열차게 보고 댕기더라. 심지어 대기업이 부지를 선정할 때에도 역술인과 풍수학자를 데리고 가니까. 왜 그럴까 인터뷰를 하거나 찾아본건 아니지만 그냥 살다보니 저절로 깨우쳐 지는 것 같다. 내가 그러고 있으니깐(내가 부자라는 말은 아님) 사업을 시작할 때나 부동산을 매입할 때 사..
#스댕데일리붇 90번째글 정치인들 따라 감정적인 행동을 하면 망한다는 말을 하고 싶어 쓴 짧은글입니다. 부자들은 뭘 어떻게 하고 있을까요. 지난 4년간 정부와 정치인들은 다주택자들에게 '투기꾼'과 '적폐'라는 프레임을 씌우고 고가주택과 2주택 이상을 가진 국민들을 공격했습니다. 정책에 '감정'이 가득 담고 있죠. 저는 매번 정책이 나올때마다 이런 느낌을 받았습니다. '이래도 안팔아 이 예비 범죄자 놈들아?' '니네 진짜 범죄자 만든다?' 계속되는 정책에도 시장에 약발이 먹히지 않자, 정부는 몇개월의 시간을 주면서 '이때까지 안팔면 니네 재산 점진적 몰수'라 보일 정도의 역대급 세금 징수를 선언했습니다. 21년 6월 1일 부로 시행되는 분양권 양도세율변경, 다주택자 중과세 등입니다. 하지만 약속의 6월1일..
스댕입니다. 제 콘텐츠는 무료이지만 유료입니다. 광고좀 눌라줘요.. 한번만 #스댕데일리붇 87번째글 1. 신축 분양상가는 모 아니면 도 수익과 차익을 동시에 노릴 수 있습니다. 그런데 분석이 잘못됐거나, 추후 옆에 더좋은 상권이나 상가가 들어와서 유효동선이 바뀔경우 임대가 안나가서 관리비에 대출이자까지 환장할 수도 있어요. 울며 겨자먹기로 월세를 할인하면 상가 시세 자체가 떨어집니다. 빽도의 상황이구요. 예상외로 임대수요가 너무 많아져서 임대료가 올라 건물가치가 오르는 경우도 있어요. 윷놀이 다섯칸 '모'의 상황입니다. 그런데 시행사는 다들 부동산 귀신이기 때문에 그런 요행은 좀처럼 일어나지 않습니다. 모두가 좋다고 평가하는 신축 상가는 확실히 비싸게 분양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쟁률이 높아요. (전 동..
이제 양도세 중과 80%의 시대가 옴. 1억 올라서 팔면 내가 2천만원 정부가 8천만원 가져감.. 1년동안 2억 올라도 내가 4천만원 정부가 1억6천만원 가져감 어차피 사지도 못하지만 샀다고 해도 팔때 수익률이 엉망임. 그런데 상가를 사볼까요 4억짜리 상가를 사면 1.5억 들여서 이자제하고 월 120~130정도가 떨어짐. 1년이면 1440~1560이니깐 연수익 대충 1500이라고 잡음. 주택투자로 치면 연간 한 8천 정도 오른 효과임 2년째 월세받으면 1.6억 3년째 월세받으면 2.4억 오른거나 마찬가지임 다주택자 입장에서 이대로 규제가 풀리지 않는다면 손쉽게 접근할게 수익형 물건들밖에 없음. 경매로 사면 더좋음 그리고 역세권 지산이나 위치좋은 섹션은 잘만 세팅하면 상가보다 수익률 훨씬더높음. 그런데 수..
미국 전 재무장관이었던 서머스 옹께서 하신 말씀 "한 세대 내에서 경험하지 못한 인플레이션이 올거다" 이러면 투자자와 비투자자들의 자산격차가 더벌어짐. 투자자 입장에선, 두 세대를 압축해서 투자하는 효과임. 원래 30년걸릴거 15년만에 목표달성 가능 투자 1원도 안한 사람들 입장에선 두 세대에 걸쳐 벼락거지되는 효과 나뿐만 아니라 내 자식들까지 힘들게 살아야 함. 그럼 지금 해야할일은 뭐라도 사야하는 것임. 현 미국 재무장관 옐런, "야 금리 올릴 필요성이 있어보인다" 이락 했으나 올린다고는 안했음. 필요성이 있다고 했음. 이걸 기정사실로 보고 금리를 대폭 올린다고 말하는 폭락론자 말들 들으면 인생이 폭락함. 그리고 금리 올리면 뭐 지금 1%대 금리에서 단번에 11%가 됨? 0.25%씩 찔끔찔끔 아주 서..
스댕입니다. 제 너낌입니다. 뇌피셜임. 짧은글임. #스댕데일리붇 85번째 글 1. 무주택자 금리 오르려나봐 금리 오르면 집값 떨어지겠어 투기꾼들 매물 많이 나오겠넹. 꼬시다ㅋ 기다렸다 사야지 룰루 2. 투자자 걍 계속 사야지 별수없네. 팔면 다시 못사는데 어떻게 팜? 세금이고 뭐고 ㅅ발 홀딩 주택 못사니까 상가라도 사즈아 3. 전문가 님들 이제 인플레이션 ㅈ됐음 다오를거임 절라 똘똘한 한채 가던가 똘똘한거 못사면 다주택가셍.. 아무거나 사세요 어차피 다오름 4. 한국부동산원 제가 원래 절라 보수적으로 발표하는거 아시죠? 근데 올해 4월까지 전국 누적상승률 4.6% 오름ㅋ (20년 12개월동안 전체 전국 3~4% 오름) 5. 부동산학과 교수님덜 이 추세라면.. 전국 연률기준 올해 20% 오를듯ㅋ 5. 공사..
수익형 부동산 상품은 추가수익 월 100~200 벌 생각으로 한두개 사보고 끝내면 안된다고 생각한다. 여기에 발을 들인 순간 이쪽 전문가가 되어서 월천 목표로 달리는게 좋다. 다른 소득 없이 수익형으로만으로도 먹고 살수있는 구조를 짜야 한다는 거다. 외벌이의 경우 겸업 금지 등의 여러 이유로 수익형 부동산의 명의를 배우자에게 돌리는 경우가 많다. 대충 4억짜리 상가를 산다면 투자금 1.5억 정도에 이자를 제하고 월 130정도의 추가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데, 그런데 그 순간 건보료가 지역가입자로 변하니 실제 수익은 더 떨어지게 된다. 그러니 거기서 끝내긴 아쉽다. 감을 한번 익힌 후엔 더 적은 금액으로 더 높은 수익을 올릴 수 있는 상품을 찾아본다. 그러다보면 경매에도 접근하게 되고 신축 지산이나 섹션 등..